반응형
강의를 들으면서 헷갈리는 것만 정리하기
아예 기억조차 안나면 헤드에 볼드체와 🔅로 정리
1회차
네트워크
- 네트워크 토폴리지
- 개념
- 네트워크의 구조, 생김새
- 종류
- 계층형
- 버스형
- 성형
- 망형
- 링형
- 개념
- 데이터 전송
- 아날로그/디지털 전송
- 디지털 전송: 5V의 높은 전압과, 1.5V의 낮은 전압을 흘려 전송함
- 방향에 따른 구분
- 단방향 통신: 라디오
- 반이중 통신: 무전기
- 전이중 통신: 전화기
- 동기/비동기 전송
- 동기식 전송 방식
- SYN: 싱크를 맞추는 것
- STX: Start 신호
- ETX: End 신호
- 비동기식 전송 방식
- 블럭의 앞뒤에 각각 start bit와 stop bit를 삽입하여 동기화
- 동기식 전송 방식
- 아날로그/디지털 전송
- LAN
- LAN 구성요소
- NIC: LAN CARD
- 리피터: 증폭기
- 허브: 케이블 집중 장치
- 브리지: LAN과 LAN을 연결
- 라우터: 다른 망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 게이트웨이
- 다른 종류의 통신망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 LAN의 전송방식
- 베이스 밴드: 변조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해 멀리가지 못함
- 브로드캐스트
- LAN의 표준 802.x
- 802.1: 전체적인 구성 규약
- 802.2: LLC(논리링크제어)에 관한 규약
- 802.3: CSMA/CD(충돌 감지) 규약 ⇒ 유선
- 802.4: 토큰 버스 규약
- 802.5: 토큰 링 규약
- 802.11: WIFI와 같은 무선 LAN, CSMA/CA 규약
- 802.15: 블루투스 규약
- LAN 구성요소
- 데이터 교환 방식 vs 라우팅 프로토콜
- 데이터 교환 방식
- 회선 교환
- 축적 후 교환
- 패킷 교환
- 데이터그램
- 가상회선
- 메시지 교환
- 패킷 교환
- 라우팅 프로토콜
- 정적 라우팅
- 동적 라우팅
- IGP
- 거리백터 알고리즘: RIP
- 링크상태 알고리즘: OSPF
- EGP
- BGP
- IGP
- 데이터 교환 방식
- 다중화
- 개념
- 하나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
- 다중화기 종류(주시코파공)
-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
- 하나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여러 주파수 채널로 나누어 사용하는 다중화 방식
- 중간의 가드밴드가 있어 낭비가 있다
- 시분할 다중화기
-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차례로 분배하는 방식
- 코드 분할 다중화: 고유의 코드를 이용한 다중화 방식
- 파장 분할 다중화: 여러 파장대역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
- 공간 분할 다중화: 시간, 주파수가 아닌 공간 차원에서 다중화하는 기술
-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
- 역다중화기와 집중화기
- 역다중화기
- 여러 개의 저속회선으로 쪼개어 전송
- 집중화기
- 모아서 하나의 고속회선으로 전송
- 역다중화기
- 개념
- IPv4/IPv6 전환 기술
- 터널링: 싸서 보내는 것
- 듀얼 스택: 둘 다 사용
- 주소 변환: IPv4, IPv6 서로 주소를 변경
- IP 기타기술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개념
- 외부에서 알려진 공인 IP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변환
- 주소 할당 방식에 따른 NAT 종류
- Static NAT: 1:1로 매칭
- Dynamic NAT: 사설 IP 개수가 많을 경우 사용하는 방식
- PAT(Port Address Translation)
- 공인 IP 주소 1개에 사설 IP 주소 여러 개가 매칭
- 개념
- DNS
- 도메인 이름을 IP Address로 바꾸어 주거나, 그 반대의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
- QoS(Quality of Service)
- 한정된 네트워크 자원 내에서 특정 트래픽이 일정수준의 성능, 속도를 보장받는 네트워크 기술
- 즉, 퀄리티를 높이게 하는 기술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 흐름제어
- 개념
- 수신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측에서 송신 데이터 전송량, 전송 속도를 조절
- 흐름제어 방식의 종류
- Stop & Wait 방식
- Sliding Window 방식
- 피기배킹(Piggybacking)
- 양방향으로 동시에 정보 프레임과 응답 프레임을 교차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사용
- 개념
- 오류제어
- 개념
-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여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파손에 대비하는 기능
- 오류제어 방식의 종류
- Stop & Wait 방식
- Go back N 방식
- Selective Repeat 방식: 선택한것만 다시 실행
- Adaptive ARQ 방식
- 전송 오류 제어 방식
- 전진 오류 수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 재전송 요구 없이 수신 측에서 스스로 오류 검출 및 수정하는 방식
- 해밍코드, 상승코드
- 후진 오류 수정(BEC, Backword Error Correction)
-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 패리티 검사, CRC, 블록 합 방식으로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제어는 ARQ에 의해 실행
- 전진 오류 수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
- 오류 검출
- 패리티 검사
- 데이터 한 블록 끝에 1비트의 검사 피트인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
-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
- 프레임 단위로 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해 프레임 끝에 FCS(Frame Check Sequence)를 추가
- 체크섬
- 간단하게 에러검출을 하는 방법
- 해밍코드
- 수신측에서 직접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까지 함
- 상승코드
- 순차적 디코딩과 한계값 디코딩을 사용하여 오류수정
- 패리티 검사
- 개념
- 흐름제어
- 백본
- 백본 네트워크
- 기간망으로 불리는 대규모 패킷 통신망
- 백본 스위치
-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며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역할
- 스위치의 종류
- L2 스위치: 똘똘한 허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운용
- L3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계층에서 운용
- L4 스위치: 로드 밸런싱, 전송 계층에서 운용
- L7 스위치: 보안 장비, 응용 계층까지 운용되는 스위치
- 백본 네트워크
- TCP/IP 계층별 프로토콜 종류
- 응용 계층
- TCP
- HTTPS(443)
- HTTP(80)
- SNTP(25)
- TELNET(23)
- SSH(22)
- FTP**(File Transfer Protocol) (20, 21)**
- UDP
- SNMP(161, 162)
- DHCP(67)
- DNS(53)
- TCP
- 응용 계층
2회차
- 네트워크
- PAN
- LAN
- MAN
- WAN
-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구조
- 계층형
- 버스형
- 성형
- 링형
- 망형
- 데이터 전송
- 동기식 전송 방식
- SYN
- STX
- start
- ETX
- end
- 비동기식 전송 방식
- 개념
- 블럭의 앞뒤에 각각 start bit, stop bit를 삽입하여 동기화
- 개념
- 동기식 전송 방식
- LAN
- 구성요소
- NIC: Lan Card
- 리피터: 증폭기
- 허브: 케이블 집중 장치
- 브리지: LAN과 LAN을 연결
- 라우터: 다른 망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 게이트웨이: 다른 종류의 통신망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 LAN의 프로토콜
- LLC
-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담당(흐름제어, 오류 처리 등)
- MAC(Medium Access Control)
- 매체 간 연결 방식 제어
- LLC
- LAN 표준 프로토콜 802.x
- 802.1: 전체의 구성, 표준 규약
- 802.2: LLC에 관한 규약
- 802.3: CSMA/CD에 관한 규약
- 802.4: 토큰 버스에 관한 규약
- 802.5: 토큰 링 에 관한 규약
- 802.11: 와이파이, CSMA/CA에 관한 규약
- 802.15: 블루투스에 관한 규약
- 구성요소
- 데이터 교환 방식
- 회선 방식
- 축적 후 교환 방식
- 패킷 교환
- 데이터그램 방식
- 가상회선 방식
- 메시지 교환
- 패킷 교환
- 다중화
- 개념
- 하나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
- 다중화기 종류(주시코파공)
-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
- 시분할 다주화기
- 코드 분할 다중화기
- 파장 분할 다중화기: 광 다중화 방식
- 공간 분할 다중화기
- 역다중화기(Inverse MUX): 여러 개의 저속회선으로 쪼개어 전송
- 집중화기(Concentrator): 모아서 고속회선으로 전송
- 개념
- 인터넷
- 개념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IPv4, IPv6 전환 기술
- 터널링: 감싸서 보내는 것
- 듀얼스택: 둘 다 사용하는 것
- 주소 변환
- 개념
- 스택 버퍼 오버플로우 ← 잠시 헷갈려서 정리
- 개념
- 스택 영역에 할당된 버퍼 크기를 초과하는 양의 데이터를 입력해, 복귀 주소(RET)를 변경하고 공격자가 원하는 임의의 코드를 실행.
- 스택 버퍼 오버플로우 대응 방안
- 스택 쉴드
- 프로그램의 복귀주소(RET)와 변수 사이에 특정값을 저장해뒀다가 그 값이 변경되면 오버플로우로 가정하여 프로그램 중단
- 스택 가드
- 함수 시작 시 RET을 Global RET라는 특수 스택에 저장해뒀다가 함수 종료 시 기존 저장값과 RET을 비교해 다르면 오버플로우로 가정해 프로그램 중단
- 스택 쉴드
- 개념
- IP 기타기술
-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 개념
- 외부에서 알려진 공인 IP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변환
- 주소 할당 방식에 따른 NAT 종류
- Static NAT
- 1:1로 매칭
- Dynamic NAT
- 사설 IP 개수가 많을 경우 사용
- PAT(Port Address Translation)
- 공인 IP주소 1개에 사설 IP주소 여러 개가 매칭
- Static NAT
- 개념
- DNS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의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
-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 프로토콜
-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 흐름제어
- 수신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측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나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 Stop & Wait, Sliding Window
- 피기배킹(Piggybacking): 양방향
- 오류제어
-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여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파손에 대비
- Stop & Wait, Go Back N, Selective Repeat, Adaptive ARQ
- 전송 오류 제어 방식
- 전진 오류 수정(FEC)
- 재전송 없이 수신 측에서 스스로 오류 검출 및 수정하는 방식
- 해밍코드
- 수신측에서 직접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까지 함
- 상승코드 방식
- 순차적 디코딩과 한계값 디코딩을 사용하여 오류 수정
- 후진 오류 수정(BEC)
- 오류 검출시 돌려 보내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 패리티 검사
- 데이터 한 블록 끝에 1비트의 검사 비트인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 전송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
- CRC(Cyclic Redundancy Check)
-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
- 프레임 끝에 FCS를 추가
- 블록 합 방식으로 오류를 검출
- 오류 제어는 ARQ에 의해 이루어진다.
- 전진 오류 수정(FEC)
- 흐름제어
-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 백본
- 백본 네트워크
- 기간망으로 불리는 대규모 패킷 통신망
- 백본 스위치
-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며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역할
- 스위치 종류
- L2
- L3
- L4: Load Balancing
- L7: 보안 장비
- 백본 네트워크
- TCP/IP
- 응용계층
- TCP
- SSL(HTTPS): 443
- HTTP: 80
- SMTP: 25
- Telnet: 23
- S-HTTP, SSH: 22
- FTP: 20, 21
- UDP
- SNMP: 161, 162
- DHCP: 67
- DNS: 53
- TCP
- 전송계층
- 인터넷계층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응용계층
2회차
- 데이터 전송
- SYN
- STX
- Start
- ETX
- End
- LAN의 구성요소
- NIC
- 리피터
- 허브
- 라우터
- 브릿지
- 게이트웨이
- LAN의 프로토콜
- LLC: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 담당(흐름제어, 오류 처리 등)
- MAC(Medium Access Control)
- 매체 간 연결 방식 제어
- IPv4, IPv6 전환 기술
- 듀얼 스택
- 터널링
- 주소 변환
- NAT(Network Access Translation)
- 개념
- 외부에서 알려진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변환
- 주소 할당 방식에 따른 NAT 종류
- Static NAT
- 1:1로 매칭
- Dynamic NAT
- 사설 IP 개수가 많을 경우 사용
- PAT(Port Address Translation)
- 공인 IP 주소 1개와 여러 개의 사설 IP 주소를 매칭
- Static NAT
- 개념
- 전진 오류 수정
- 해밍 코드
- 자기 정정 부호
- 상승 코드
- 순차적 디코딩과 한계값 디코딩
- 해밍 코드
- 후진 오류 수정
- 패리티 검사
- CRC(Cycle Redundancy Check)
-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로 덧붙여서 보내는 방식
- 프레임 단위로 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하여 프레임 끝에 FCS를 추가
- 블록 합 방식
- ARQ로 의해 이루어짐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신기술용어 (0) | 2023.07.22 |
---|---|
[정보처리기사] 정보보안 (0) | 2023.07.21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0) | 2023.07.21 |
[정보처리기사] 운영체제 (0) | 2023.07.21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구축 (2)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