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7

[개발 지식, 자바] 포맷 문자열 - format

자바의 String.format 메서드는 포맷 문자열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생성하는 데 사용. 이 메서드는 C 언어의 printf와 유사한 형식을 따르며,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을 포맷팅하여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음. String.format 메서드는 정적 메서드이므로, String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음.기본 사용법String formattedString = String.format(String format, Object... args);format: 포맷 문자열로, 문자열 내에 포맷 지정자(예: %s, %d, %f 등)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args: 포맷 지정자에 대응하는 값들입니다. 여러 개의 값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주요 포맷 지정자%s: 문자열(String)%d: 1..

개발 지식 2024.07.31

[개발 지식, 자바] 캐스팅(Casting)

캐스팅(Casting)은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중요한 기법 중 하나. 특히 자바와 같은 엄격한 타입 언어에서는 캐스팅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에서 캐스팅의 개념, 필요성, 그리고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해 작성.1. 캐스팅의 개념캐스팅은 변수나 값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캐스팅이 있다:자동 캐스팅(Implicit Casting):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의 변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명시적 캐스팅(Explicit Casting): 큰 타입에서 작은 타입으로의 변환은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한다2. 자동 캐스팅자동 캐스팅은 데이터 손실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처리. 예를 들어, int를 lo..

개발 지식 2024.07.30

[금융DT] - 디지털 마케팅 (2)

4절 금융서비스의 제조, 판매, 기능의 변화 - BaaS와 임베디드 파이낸스임베디드 파이낸스유통사인 비금융 디지털 플랫폼이 금융 상품을 단순히 중개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넘어 ‘자사 플랫폼에 타 금융사의 상품, 서비스를 내재화 하는 것’금융사업의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을 새로운 트렌드로 특히 결제나 보험과 관련된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임베디드 페이먼트(B2C): Buy Now Pay Later (고객)BNPL이란Buy Now Pay Later의 약자로 선구매, 후결제를 가리킨다.BNPL vs 신용카드BNPL에서는 원칙적으로 이용자에게 할부이자나 수수료 등이 부과되지 않는다.물론 연체 시에는 연체 수수료가 부과됨신용카드 발급 시엔 신용 점수 확인이 필요하지만, BNPL은 신용카드처럼 까다롭지 않음BNPL..

금융DT 2024.07.25

[금융DT] - 디지털 마케팅 (1)

1절 핀테크의 새로운 물결 - 녹색경제를 지탱하는 그린 핀테크글로벌 트렌드가 된 녹색 경제녹색경제란유엔환경계획이 발간한 보고서에서 사용한 경제 개념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동시에 환경문제와 관련된 위험과 생태적 손실을 줄이는 경제’를 의미즉, 녹색경제는 환경과 사람 모두에게 친화적인 경제.UNEP에 따른 녹색경제저탄소로 자원효율이 높고 사회적 포용성을 가진다.환경 친화적이며 제한된 자원을 가능한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사람들의 생계를 개선하고 성장을 추구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그린워싱의 위험성그린워싱이란투자자와 소비자에게 환경을 보호하는 척, 환경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처럼 행세하면서 회사의 평판과 이익 향상을 도모하는 것.그린 핀테크의 부상그린핀테크란금..

금융DT 2024.07.24

[금융DT] - 디지털금융 기술 (2)

4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블록체인과 분산원장의 개념블록체인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공공 장부에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일정한 주기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생성한 후, 이전 블록들을 체인 구조로 연결한다는 의미.블록에 기록된 내용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이에게 공개되며 참여자 간에 합의가 있어야만 거래 내역이 업데이트 될 수 있기에 ‘공공 거래 장부’, ‘분산원장 기술’이라고 부른다.하지만 ‘모든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지만, 모든 분산원장 기술이 블록체인의 형태를 띠는 것은 아니다’분산원장은 여러 컴퓨팅 장치에 분산된 DB라는 의미이기에 분산원장 기술 안에 블록체인이 내집합으로 포함되어 있는 의미이다.그렇기에 분산원장 기술만..

금융DT 2024.07.23

[개발 지식] Throttling vs Debounce

Throttling vs DebounceThrottling과 Debounce는 웹 개발에서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기술로성능 최적화를 위해 이벤트 발생 빈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Throttling 정의:스로틀링은 특정 시간 간격 내에 이벤트가 여러 번 발생해도, 일정한 간격으로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제한하는 기술입니다.동작 방식:이벤트가 발생하면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추가 이벤트를 무시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ms 동안 10번의 이벤트를 발생시켰다면, 스로틀링을 200ms로 설정하면 그중 첫 번째 이벤트와 두 번째 이벤트만 처리됩니다.사용 사례:스크롤 이벤트: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할 때, 스크롤 위치를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빈도를 제한하고 싶을 때.윈도우 리사이즈 이벤트: 사..

개발 지식 2024.07.22

[파이썬, RPA] - RPA 단계 별 예시 코드 구현

1. 기본 자동화기본 자동화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 엑셀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고 다른 파일에 복사하는 작업을 자동화 하는 코드import openpyxl# 엑셀 파일 열기workbook = openpyxl.load_workbook('input.xlsx')sheet = workbook.active# 데이터를 읽어서 새로운 파일에 쓰기new_workbook = openpyxl.Workbook()new_sheet = new_workbook.activefor row in sheet.iter_rows(values_only=True): new_sheet.append(row)new_workbook.save('output.xlsx')# 웹 페이지에서 특정 데이터를 추출해서 CSV 파일로 저장하는 자..

[금융DT] - 디지털금융 기술 (1)

1절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이해와 활용클라우드의 정의클라우드 컴퓨팅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일들을 더는 지상(PC)에서 처리하지 않고 구름 위(중앙서버)로 올려 보내 필요할 때마다 중앙서버에 연결해 쓴다는 의미.인터넷 메일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클라우드의 분류서비스 모델에 따른 분류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인프라)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에게 CPU나 하드웨어 등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모델대표적인 서비스아마존의 AWS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개발 도구 등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모델대표적인 서비스Heroku(쉬운 개발, 배포 및 관리 서비스)Saas(Software..

금융DT 2024.07.19

[금융DT] - 디지털금융 정책 트랜드 (2)

4절 금융규제 완화와 새로운 서비스의 출현: 데이터 3법데이터 3법의 개요데이터 3법이란개인정보 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가명 정보’를 본인 동의 없이 통계 작성, 연구 등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신용정보법 개정안가명 정보를 신용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이용,제공하는 것이 핵심.정보통신망법 개정안개인정보 관련 내용을 모두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이관.개인정보 > 가명정보 > 익명정보개인정보특정 개인에 관한 정보로, 개인을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정보가명정보추가정보의 사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 볼 수 없게 조치한 정보익명정보더 이상 개인을 알아볼 수 없게 조치한 정보(복원 불가)위 내용을 제외한 핵심정리신용정보법 개정안의 핵심..

금융DT 2024.07.18

[금융DT] - 디지털금융 정책 트랜드 (1)

1절 온라인플랫폼 규제의 쟁점최근 온라인플랫폼은 전 세계적으로 현대 경쟁법 및 경쟁정책의 주요한 대상이며 GAMA가 이끄는 거대한 온라인플랫폼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크게 기여했지만 일상생활 모든 것에 깊이 관여하다 보니 새로운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특히 유럽에서는 토종 포털 사이트가 없기에 GAMA를 사용하여 유럽 소비자의 정보는 미국 빅테크의 서버로 넘어가게 됨.그렇다고 GAMA, 네이버 등의 기업들에게 규제로 제제한다면 좋지 않기에 논쟁이 있다.그래서 온라인플랫폼 규제에 접근하는 기본은 EU에서 말하는 건 ‘게이트키퍼’의 서비스.예를 들면 ‘자영업자의 피를 빨아 배를 불린다’라는 비난으로 오른 배민, 요기요를 의미.국내이후 23년 12월 19일 ‘플랫폼경쟁촉진법(플랫폼법)’ 입법을 본격적으로 추..

금융DT 2024.07.18